군 실무자와 농협관계자들이 중간보고를 듣고 있다.  ⓒ 무한정보신문 
군 실무자와 농협관계자들이 중간보고를 듣고 있다.  ⓒ 무한정보신문 

예산군의 농업분야 취업자 수는 감소추세며,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군이 농촌지역 인력난 해소를 위해 ‘농촌인력종합계획수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27일 ‘지방행정발전연구원’의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연구원은 군 의뢰로 2023부터 2027년까지 5개년 농촌인력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예산지역 농가인구는 1만7610명으로, 2013년 2만6420명과 비교해 10년 동안 8810명이 감소했다. 농업종사가구원은 2005년 3만2439명에서 2020년 2만65명으로 40% 가량 줄었다. 

농림어업취업자 수는 2018년 1만8800명→2021년 1만7200명으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1만8500명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감소한 농업종사가구원 수만큼 외국인 근로자들이 대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마저도 5년 전 수치에 미치지 못해 여전히 외부인력(내·외국인) 수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작물별 재배면적 10a당 근로시간은 53.54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8시간 근로 기준으로 6.69명의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인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인력수급은 내외국인 모두 주로 지인·사설인력소개소·농작업팀을 통해 공급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 동안 76.5%가 인력고용에 어려움을 겪었고, 그 원인을 코로나19로 외국인 근로자 감소(33.3%), 인력부족(32%), 고령화(25.8%)를 이유로 들었다.

이에 연구원은 ‘적재적소 농업인력 수급을 통한 농업·농촌 활성화’를 비전으로 단기·중장기 군 지원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외국인 근로자 고용지원 △인력중개체계 활성화 △농촌일손돕기 지원 △농업인력지원 상황실 운영 △도시 유휴인력활용 △체류형 영농작업반 운영 △인력고용 여건 개선 지원 △교육지원 등을 단기 과제로 제시했으며, 중장기 과제는 농촌인구증가대책마련·추진과 농작업기계화·자동화 노력을 들었다.

이날 농협 실무자들은 “낮은 숙련도와 높은 인건비로 인력수급이 원활하지 못해 농가와 근로자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근본적으로 농촌인력이 왜 부족한가에 대해 따져봐야 한다. 예산군은 농법에 문제가 있다. 소득이 안되니까 규모를 늘린다. 그러다보니 인력이 필요해지는 것이다. 고품질 농산물 고품질화에 정책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다” 등의 의견을 말했다. 

최재구 군수는 용역사에 “품목별, 연령별 농업인구의 정확한 통계에 기반할 때 실효성 있는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며 “최종보고회 때는 현장의 목소리를 더 듣고 실질적인 대책을 도출할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예산뉴스 무한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